스페이스 X는테슬라의 설립자로 유명한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로켓 회사입니다. 스페이스 X는 우주비행 비용을 절감하여 인간을 화성으로 데려가려는 임무를 띠고 만들어졌으며 거의 20년이 지난 지금, 그것은 그 목표를 달성하는 동시에 많은 다른 이정표를 달성하는 데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SpaceX는 어떻게 시작되었나?
2002년, 머스크와 그의 친구들은 새로 만들어진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사기 위해 러시아로 갔습니다. 당시에는 인터넷 스타트업으로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인 머스크일지라도 당장 사업을 시작할 생각은 없었고 NASA와 우주 탐사에 대한 자금조달과 우주 탐사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기를 바랐던 그는 큰돈을 투자할 생각이었습니다.
처음 그의 아이디어는 러시아 로켓을 싸게 사서 화성에 식물이나 생쥐를 보내는 데 사용하며, 그리고 그것들을 다시 지구로 데리고 온다면 전 세계가 우주에 대해 다시 열광하게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죠. 그러나 머스크의 생각만큼 모스크바 회의는 잘 진행되지 않았고, 그 과정에서 직접 로켓을 만들 수 있겠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렇게 스페이스 X는 불과 몇 달 후에 설립되었습니다.
팔콘 9 (Falcon 9) 로켓이란?
머스크는 처음에 2010년까지 화성에 도착하는 것을 계획했지만, 단지 하나의 로켓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만 6년이 걸렸습니다. SpaceX Falcon 1은 2008년 9월 28일 처음으로 지구 궤도를 돌았으며 연구를 거쳐 2010년 첫 발사 이후 이 회사의 대표 로켓인 9단 엔진 버전의 팔콘 9가 탄생했습니다.
팔콘 9는 기업과 정부의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어 온 2단 궤도 로켓이며 지난 9년 동안 70개 이상의 미션을 수행했습니다.
이 로켓이 경쟁사들과 차별화된 것은 유례없는 우주 왕복선 기술력입니다. 화물을 궤도로 보냈다가 다시 지구로 돌아오게 하여 단단한 지상에 착륙하거나 바다에 떠 있는 드론 우주선 착륙대에 착륙하는 것인데, 이것은 스페이스 X의 혁신입니다.
몇 번의 폭발로 그 시도가 실패한 후, 2015년 12월 22일에 마침내 팔콘 9는 안전하게 착륙했고, 몇 달 후에 또 다른 발사체가 처음으로 드론 비행선에 착륙했습니다. 2018년 5월 11일, 스페이스 X는 주기적인 재가공을 통해 최대 100번까지 재사용되도록 설계된 최종 버전인 블록 5 팔콘 9 로켓을 발사했습니다. 2019년 11월 11일, 하나의 팰컨 9호가 궤도 로켓으로는 최초로 네 번째로 발사 및 착륙에 성공했고, 재활용된 노즈콘을 사용하여 처음으로 비행했습니다.
스페이스X 우주비행사를 태운 최초의 민간회사가 되다.
그리고 지난 토요일 (5월 30일) 처음으로 우주로 비행사들을 태운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했습니다.
우주비행사들이 처음으로 탑승한 새로운 크루 드래곤 우주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함으로써, 스페이스 X는 나사를 위해 우주비행사를 발사한 최초의 민간 회사가 되었습니다. 또한 2011년 우주 왕복선 프로그램이 끝난 이후 NASA는 카자흐스탄에서 발사된 러시아 우주선에 의존하여 미국 우주 비행사들을 우주 정거장으로 데려가고 있었기 때문에 그 이후 미국에서 처음으로 발사된 우주선 이기도 합니다.
References
www.cnet.com/news/spacex-everything-to-know-about-elon-musk-space-company/
https://www.abc.net.au/news/2020-05-31/space-x-launches-astronauts-to-iss-from-nasa-pad/12304294
'사회와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 책임감있는 생산과 소비가 중요한 이유. (0) | 2020.06.04 |
---|---|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란?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 세계를 변화시킬 17가지 목표. (0) | 2020.06.02 |
평양 어린이의 브이로그, 북한의 슈퍼마켓을 보여주는 북한 유튜브(New DPRK) (0) | 2020.05.31 |
2020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 한국은 46위 북한은 가장 마지막인 180위 (0) | 2020.05.30 |
미디어 리터러시 (Media Literacy) 란 무엇이고 왜 중요할까? (0) | 2020.05.27 |